티클럼칼럼
저자 | 발행일자 |
---|
<이진수의 차 이야기 15. 고려시대 연례의 차>
차(茶)는 사람들과의 교류에 있어 중요한 매개체로 등장한다. 여가와 차회, 모임 그리고 일상의 휴식에도 빠지지 않는 것이 차이다.
잠시 차문화의 꽃으로 불리던 시기로 돌아가 보자. 우리의 차문화가 가장 융성한 시기로 평가되고 있는 고려시대에 등장하는 문헌자료에는 국왕이 하사품으로 차를 내리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국가의례에는 물론이고 사찰이나 민간에서의 소비와 함께 대외 무역품으로도 비중 있는 것이 차였다. 특히 <고려도경(高麗圖經)>에서는 고려인들의 연례(燕禮)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데 차의 종류와 차 마시는 방법이 그것이다. 고려의 연회나 왕궁의 의례에서도 빠질 수 없는 것이 차였다.
국왕이 사신으로 갔다 돌아온 이들에게 연회를 베푸는 장면이 <연영전각(延英殿閣)>에 전하는 내용을 보면, "지금 입조했던 진공사 자량이 하사받은 계향·여주·용봉명단·진과·보명을 가지고 돌아왔기에 기뻐하며 경들과 함께 이 성대하고 아름다움을 즐기려한다"고 했다.
당시 중국의 용봉명단은 사신을 통해 고려에 들어왔고 왕이 베푸는 연회에서 마셨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고려도경은 고려시대 사행행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사신들이 외국에 오갈 때는 기행일기를 썼는데, 명나라시대는 조천록, 청나라시대는 연행록이라고 했다.
고려의 사신으로 머물던 서긍일행이 관사에 묵는 동안 왕은 관원을 보내 연회를 열어주는데, 먼 길을 온 손님을 위로하기 위해 여는 잔치로 이것을 불진회(拂塵會)라고 한다. 이때부터는 5일에 한 번씩 연회가 열렸는데 명절이나 절기를 맞으면 더욱 풍성하게 차렸다.
이때 요리사를 쓰는데, 과일 안주 그릇은 모두 송나라 조정에서 보낸 것이다. 사방의 좌석에는 귀한 노리게·골동품·서첩·명화·보기 드문 향로와 진기한 차를 늘여 놓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시 중국에서 유행했던 글씨, 그림, 향, 차는 귀중한 물품으로 인식됐던 것으로 고려 사람들이 모두 경탄해 마지않았다. 술자리가 끝날 즈음 취향에 따라 원하는 대로 갖고 싶어 하는 것을 줬다.
고려 13세기 초 청자상감 모란무늬 잔.
고려의 왕실은 상단으로 이끌고 외국과 무역을 주로 한 세력이기 때문에, 차문화에 관한 것은 어떤 부류보다 많이 체험하고 있었다.
그리고 고급문화에 갈증을 느끼던 신흥사대부들은 자연스레 차를 가까이하게 되어 차문화는 한층 더 발전하게 됐다. 따라서 좋은 품질의 차를 생산하여 궁중은 물론 신하들과 사원에 하사품으로 많이 사용했는데, 고려차는 품질도 좋았고 외교적인 공물로도 사용됐다. 그리고 대부분은 송에서 수입된 것으로 그 양은 막대했고 송과의 국가적인 교류에서 오간 많은 품목 중에 대표적인 용봉단차는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기록에 의하면 용봉단병은 어원(御苑)인 북원에서 나는 것으로 생산량이 얼마 안 되는 아주 귀한 차였다. 그것이 왕실로 오고, 그 중 일부가 선승이나 신하들에게 내려지기도 했다.
인종 연간에는 차 마시는 것이 더욱 성행하면서 중국의 납차와 용봉단차를 귀중히 여겼다. 고려에서 생산되는 토산차는 쓰고 떫어 입에 넣을 수 없었기 때문에 납차와 용봉단차의 귀함이 더 컸을 것이다. 이 시기에 하사해 준 것 이외에 상인들 역시 차를 가져다 팔기 때문에 차 마시기를 좋아해 다구의 유행을 불러왔다. 금으로 꽃무늬를 새긴 검은색 찻잔, 비색의 작은 찻잔. 은색 세발화로 등은 모두 중국의 다구를 모방한 것이다. 대체로 연회 때는 궁궐 뜰 가운데서 차를 끓여서 은으로 만든 연잎 모양의 뚜껑을 덮어서 내놓았다.
현재에 전하는 기록에서 연례의 차 관련 기록을 주목하는 것은 예를 다하는 고려 차문화의 일단을 살펴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출처 : 원불교신문(http://www.wonnews.co.kr)
첨부파일 |
---|